진실과 거짓 사이 : 무고죄 이해하기

섬네일



무고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상대방이 허위의 사실을 신고하여 억울한 처지에 놓이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오늘은 무고죄에 대한 법적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대처하는 방법도 함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고죄의 개념 및 조건

무고죄는 형법 제156조에서 타인에게 형사 처분 또는 징계 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공무소 또는 공무원에 허위 사실을 신고한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1. 무고죄가 성립하기 위한 조건

  • 형사 처분 또는 징계 처분을 받게 할 목적
    : 형사 사건뿐만 아니라 공무원 등에게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을 가질 경우에도 무고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 허위 사실 신고
    :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사실을 신고해야 무고죄가 성립합니다. 법적 판단이 잘못된 신고의 경우 무고죄가 성립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두가지 조건이 성립되어야 형법상 무고죄에 해당됩니다.


2. 무고죄 입증
무고죄로 억울하게 신고당한 경우에도 입증 과정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입증할 수 있습니다.
  • 신고자의 목적 증명
    : 신고자가 형사 처분 또는 징계 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허위 사실을 신고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신고자와 신고 대상자 간의 관계, 신고 전후의 상황, 신고 내용과 방식 등을 조사하여 신고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허위 사실 증명
    : 신고자가 제공한 사실이 거짓이라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객관적인 증거(예: CCTV, 목격자, 전화 통화 기록 등)나 전문가 의견(예: 의료진, 감정인 등)을 활용하여 사실과 다름을 입증할 수 있습니다.


무고죄의 예시

무고죄의 성립 여부는 다음 두 가지 예시를 통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예시 1
: 학부모가 어린이집 영상을 보고 선생님이 아이를 거칠게 다루는 것 같다고 판단해 신고했으나, 선생님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이 경우, 학부모가 법률적 판단이 잘못되었더라도 허위 사실이 아니므로 무고죄가 성립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시 2
: 학부모가 특정 선생님을 형사 처벌받게 할 목적으로 그 선생님이 자신의 아이를 때린 적이 없음을 알면서도 아이에게 선생님에게 맞았다고 진술하도록 강요하고 신고했다. 이 경우, 허위 사실을 만들어 신고했기 때문에 무고죄로 처벌할 수 있습니다.

기타 무고죄가 자주 성립되는 사례는 대체로 아래와 같은 경우들입니다: 

  • 가정폭력: 가정폭력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허위로 신고된 경우, 무고죄가 성립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이혼이나 상속 등 가족 간의 분쟁이 있을 때 목적이 명확하게 입증되면 무고죄가 성립됩니다.

  • 성폭력 혐의: 성폭력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허위로 신고한 경우 무고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혐의에 대한 객관적 증거가 부족하고 허위 사실임이 밝혀질 경우, 무고죄가 인정될 수 있습니다. 

  • 명예훼손 또는 중상모략 혐의: 상대방에게 비방이나 소문을 퍼뜨려 이름을 더럽혔거나 중상을 가한 것처럼 허위 신고를 할 경우, 무고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 사기 및 횡령 혐의: 사기나 횡령과 같은 금전 관련 혐의를 허위로 신고할 때, 무고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이때 금전 거래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거나 허위임이 명확해야 합니다. 

  • 정치적 목적의 무고: 정치적 목적으로 허위 사실을 신고하거나, 정치가들이 부정행위나 특혜 의혹 등을 미루어졌을 때 무고죄가 성립될 수 있습니다. 


무고죄 대처하는 방법

무고죄로 고소하는 경우나 당한 경우 다음과 같은 점들을 주의해야 합니다.

1. 객관적 증거 확보
: 무고죄를 입증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객관적인 증거가 확보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CCTV, 목격자, 전화 통화 기록 등의 증거나 의료진, 감정인 등의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여 사실과 다름을 입증할 수 있습니다.

2. 기수 주의
: 무고죄 고소가 즉시 기수가 된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 신중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즉, 신고자가 허위 사실을 신고한 순간부터 무고죄가 성립되므로, 신고 후에 취소하거나 정정하더라도 무고죄를 면할 수 없습니다.

3. 변호사 상담
: 무고죄는 형법상 중대한 범죄로, 허위 사실을 신고하여 타인에게 불이익을 줄 수 있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무고죄에 대해 감정적인 판단 대신 반드시 변호사와 상담하여 신중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변호사는 무고죄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고, 적절한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고죄로 인해 피해를 본 경우에는 반대고소나 민사 소송을 통해 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무고죄는 형법 제156조에 규정된 범죄로, 허위 사실을 신고하여 타인에게 형사 또는 징계 처분을 받게 하는 상황에 해당합니다. 무고죄가 성립하는 예시와 성립하지 않는 예시를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무고죄와 관련된 사건을 처리할 때는 변호사와 상담하여 신중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억울한 처사를 받지 않도록 방어할 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